본문 바로가기

내가 해보니

국내선 탑승시, 액체류 기내 반입 안된다? 된다!!

9.11 테러 이후 항공 여행에서 보안이 매우 중요해졌고, 대표적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친건 아무래도 기내 액체류 반입 제한이 아닌가 싶습니다. 해외 여행을 한 번이라도 해 보신 분이라면 누구나 알 수밖에 없는 상식중의 상식인 100ml 이하 용량의 용기, 그리고 투명 지퍼백에 담는 것이 바로 그것이죠. 그런데 알고 보니 이게 국제선에만 해당된다는 사실?!

지난주에 가족들과 함께 오랜만에 제주도 여행을 다녀왔는데, 2월 말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에 지친 심신을 제주도 여행으로 달래려는 인파들로 김포공항 및 제주공항이 북적이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바 있습니다. (네, 저도 그 인파에 네 명을 보탰네요...ㅋ) 그런데 보안검색대를 통과하기 직전에 손에 들고있던 페트병에 담긴 생수며 커피, 주스 등등을 벌컥벌컥 들이마신 후 쓰레기통에 병을 버리고 보안검색대를 향하는 분들을 여럿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그 분들은 아마도(!) 해외여행에 단련된 분들 아닌가 싶어요. 왜냐하면, 100ml 이하 용기에 담겨있는 것만 가능하다는 그 액체류 규정은 국제선에만 해당되거든요. 국내선은 액체류 제한이 없습니다.

방금 전에 인천국제공항 웹사이트에서 캡쳐하였습니다. ^^


저도 이번에 4박 5일간 여행에서 낮에 돌아다닐 때 마시려고 샀던 삼다수 500ml 20병 묶음을 다 마시지 못한게 있었는데, 버리자니 너무 아까워서 이걸 어떻게 할까 하다가 기내용 가방 여기저기 틈에 두어개씩 쑤셔넣어서 보안검색 통과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거든요. (4년 전 마지막 제주 여행 때까지는 이 점을 몰랐다는건 안비밀 ㅠ_ㅜ)

국내선 비행기 탈 때 음료, 화장품, 국물있는 음식 등등 '액체류'에 해당되는 짐 때문에, 몇 kg 되지도 않는 짐을 굳이 수하물로 부쳐야 하나? 더 이상 고민하지 말고, 그냥 들고 타세요! (단, 기내 반입 수하물의 개수 및 무게에 대한 규정은 항공사/클래스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미리 확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