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 것처럼 알아보니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타면 정말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될까? - 쏘나타(DN8) 편

 

2020년 까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취득세가 최대 90만원까지 감면되던 것이 2021년 부터는 최대 40만원으로 50만원이 줄어들게 된 탓에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가 많이 증가하였다는 기사가 2020 연말에 많이 보였습니다.

정확한 대수는 12월 판매량 집계가 나오면 알 수 있겠지만, 여러 기사들의 내용으로 보아 아마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가 사상 최대였을 듯합니다.

물론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증가가 단돈 50만원 때문이라기 보다는, 과거에 비해 다양해진 차종, 우수한 연비(=경제성), 디젤 수요의 대체, (전기 모터 주행시) 정숙성, 친환경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다양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하이브리드를 선택한 이유'는 대체로 우수한 연비와 세제 혜택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타면 정말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될까?'

 

이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차종 내에 하이브리드 포함 두 가지 이상의 파워트레인이 있어야만 공정한 비교가 가능할 것입니다.

좀 더 의미있는 비교가 될 수 있도록 이왕이면 세 가지 이상을 놓고 비교하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아래 두 차량이 떠올랐습니다.

 

1. 현대 쏘나타 - 2.0 가솔린, 2.0 LPi, 1.6 터보가솔린, 2.0 하이브리드, 2.5 터보가솔린

>>> 의외로 5가지나 되는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기아 쏘렌토 - 2.5 터보가솔린, 2.2 디젤, 1.6 하이브리드

>>> 참고로, 2020년 논란의 쏘렌토 하이브리드는 2021년 7월부터 친환경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기사 참조, www.motorgraph.com/news/articleView.html?idxno=26879)

 

 사실 경제성을 비교해보려면 엄밀히는 세금/보험/정비비용 등을 모두 포함하는 Total Cost of Ownership을 따져봐야겠지만, 배기량(자동차세에 영향) 및 차량 가격(취득세에 영향)이 고만고만한 차량들이기 때문에 심플하게 차량가격+유류비로만 계산을 해봅니다. 

 

 

2021년 1월 5일 현재 오피넷 기준 전국 평균 유류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 가솔린: 1,430.39원

- 디젤: 1,231.37원

- LPG: 797.43원

 

현대 쏘나타 (DN8)

쏘나타에서 선택할 수 있는 총 5가지 파워트레인 중 2.5 터보가솔린(=N라인)은 나머지 넷과는 성격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굳이 비교할 필요는 없을 듯합니다. 

그리고, 조사를 하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쏘나타의 기본 트림은 '스마트'이지만, LPi의 경우 해당 트림이 없고, 그 윗등급인 '프리미엄'부터 시작입니다.

같은 기준점에 놓고 비교를 하기 위해 해당 트림을 기준으로 차량가격(개소세 3.5%)+유류비(연 15,000km 주행)를 비교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쏘나타 하이브리드의 경우 기본 휠이 16인치인데 나머지 모든 모델은 17인치가 기본이라, 연비도 17인치를 기준으로 통일했습니다.

 

 

  복합연비 (km/L) 연간 유류비 (원) 차량 가격 (만원)
2.0 가솔린 12.9 1,663,244 2,631
2.0 LPi 10.2 1,172,691 2,641
1.6 터보가솔린 13.8 1,554,772 2,705
2.0 하이브리드 19.1 1,123,343 2,961

차량 가격은 2.0 가솔린이 가장 저렴하고, 하이브리드가 가장 높습니다. 두 모델의 가격 차이는 무려 330만원 입니다.

그에 반해 복합연비는 하이브리드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2.0 가솔린 대비 무려 6.2km/L를 더 달릴 수 있는, 약 50% 높은 연비를 자랑합니다. 

이 정도면 한 3년이면 금방 차값을 상쇄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옵니다.

 

하지만! 엑셀에 차량가격 및 유류비를 넣고 계산을 한 번 해보니, 연간 15,000km를 주행하는 시나리오에서 6년 2개월을 넘어가는 시점이 되어서야 유류비+차량 가격이 역전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약 92,500km 주행)

 

쏘나타의 경우 기본 엔진과 하이브리드의 배기량에 차이가 없으니 연간 자동차세는 거의 비슷한데 비해, 같은 트림일 때 차량 가격은 300만원 이상 차이가 나니 자동차 보험료에 영향을 일부 줄 수 있습니다.

그 뿐 아니라 6년 이상 보유 + 10만km에 육박하는 거리를 주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수리비 등은 아무래도 부품 종류가 더 많고 비싼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더 들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하이브리드의 비싼 차값은 연료비로 충분히 상쇄 가능해!' 라고 말하기가 좀 머쓱해지겠네요.

 

참고로 제가 계산한 표에서, 6년 2개월은 LPi를 제외한 세 모델의 유류비+차량가격이 3,360만원 전후로 딱 일치하는 시점 입니다. 

그리고 동일 시점에서 LPi 차량만 300만원을 덜 잡아먹었습니다. 경제성만 따지자면 LPi의 승리입니다.

 

 

 

작성하다보니 글이 좀 길어져서 쏘렌토 이야기는 2부에 이어가겠습니다.

(쏘렌토 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