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절에 대한 글을 쓰기로 했었는데, 먹고 사는 일이 바쁘다보니 많이 늦어졌습니다. ^^;
많은 사람들이 자음을 발음할 때에 p랑 f가 어쩌고, b랑 v가 어쩌고, th는 어떻게 해야하고 이런 얘기들은 많이 하는데 반해, 음절의 중요성은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음절이 대체 무엇이냐고요? 우리말의 경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음절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음절 -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 몇 개의 음소로 이루어지며, 모음은 단독으로 한 음절이 되기도 한다. ‘아침’의 ‘아’와 ‘침’ 따위이다.
즉, 우리말에서 음절은 자음+모음, 자음+모음+자음으로 구성됩니다. 모음의 경우 단독으로 한 음절이 되기도 하죠. 예를들면, '아' 처럼 음가가 없이 초성으로 표기된 'ㅇ'을 가지고 있는 'ㅏ'의 경우 단독으로 한 음절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평소 전화 또는 누군가를 만나서 소리내어 대화 하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말할 때 내는 소리 자체는 연속되어 있지만 우리가 이것을 인식할 때는 우리말의 글자 단위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 분리된 단위가 음절 입니다.
영어에서는 이 음절이 과연 어떻게 다를까요? 제가 가끔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설명을 참조하였습니다. 아래는 위 표의 내용을 번역해본 것입니다.
음절이란?
- 음절은 A, E, I, O, U 또는 Y를 발음할 때 만들어지는 모음(A, E, I, O, U)의 소리이다.
- "Y"는 A, E, I, O, U 소리를 만들어낼 때에만 모음이다. (예: fry, try, cry, dry)
- 한 단어에서 모음의 소리가 들리는 횟수가 바로 음절의 갯수이다.
- 모음이 두 개(또는 이상) 연속해 있을 경우 음절의 갯수는 모음 소리의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 free - 1음절, eat - 1음절, bio - 2음절)
- 모음의 소리가 없는(=묵음) 경우는 음절로 세지 않는다. (예: fire - 1음절)
- 단어가 "le" 또는 "les"로 끝난다면? 그 "le" 바로앞에 있는 글자가 자음일 경우에는 음절이 된다.
영어 발음에서 음절의 중요성에 대한 글이니.. 예를 들어서 설명해야겠죠? 간단한 예가 떠올랐습니다.
Child - 여러분은 어떻게 발음하시나요? [차일드]가 떠오르실겁니다. 그러면 3음절인가요? 자음이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없는 우리말 식으로 생각하면 그렇습니다. 하지만 정답은 1음절 입니다. 우리말에서는 'ㅏ'와 'ㅣ'는 연속으로 발음되지 않는 각각의 모음인데, 영어 모음 'I[아이]'는 하나의 모음입니다. 또한 우리말에서는 받침인 'ㄹ' 뒤에 연속으로 다른 자음이 단독으로 발음될 수가 없고 'ㅡ'가 붙어서 또 하나의 음절을 이루게 됩니다. 즉 [ㅊ아이(=알파벳 I)ㄹㄷ]인 셈입니다.
Strike - 이것도 좋은 예가 되겠습니다. 우리는 [스트라이크]라고 인식합니다. 5음절일까요? 아닙니다. 이 역시 1음절 입니다. 말하자면 [ㅅㅌㄹ 아이(=알파벳 I)ㅋ]가 되겠네요.
여기에서 우리말과 영어 발음의 근본적인 커다란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말의 소리에서는 모음의 앞/뒤에 자음이 하나씩만 올 수 있는데 반해 영어는 모음의 앞/뒤에 자음이 여러개가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각 글자, 즉 자음과 모음이 어떤 소리를 내는지 열심히 공부를 하고 연습을 아무리 하더라도 이러한 우리말과 영어의 음절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영어를 읽거나 대화를 하게되면 우리말 식으로 음절을 구분하며 발음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흔히 말하는 '콩글리쉬' 발음의 원인도 대체로 여기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영어식으로 음절을 잘 구분할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말씀드린 기본적인 내용을 잘 이해하신 후, 발음에서 모음에 좀 더 집중해보는 것이 방법일 수 있겠습니다. 모음과 결합되지 않은채 연속되는 자음들은 이전보다 조금 더 짧게 소리내 보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많이 듣고 따라하는 것이겠지요?
'외국어 해보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듣기는 어느정도 되는데, 말하기가 어려워요. 단어를 더 외워보려고요.” (1) | 2021.05.20 |
---|---|
단어 끝 자음을 정확히 발음하면 더욱 잘 통한다. (1) | 2021.02.09 |
자음보다 어렵고도 중요한 모음 (1) | 2021.01.29 |
내 영어 발음은 괜찮은 것일까? (1) | 2021.01.20 |
당신의 일상에 영어가 필요하십니까? (1) | 2021.01.20 |